안녕하세요? 오늘 오전에 수영강좌를 처음으로 신청을 시도 하려고 하였습니다. 5시 40분에 입회비를 결제 하려고 하였으나, 1. 강좌신청 시간이 아니라는 이유로 입회비 결제가 안되었습니다. 2. 6시 이후 서버 과부화로 인하여, 계속 입회비 결제를 실패 하였다가, 10여분후에 겨우 결제 페이지로 넘어갔습니다. 3. 결제전 수영 강습에 자리가 아직 남아 있는지 확인하였고, 아직 잔여가 무려 69/70인것을 확인하고, 결제를 진행 하였습니다. 4. 입회비 결제 직후, 다시 수영강습 페이지에서 강습신청을 하려 하였으나, '입회비 결제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신청이 되지 않았습니다. 5. 페이지를 리로드 하여도, 동일한 현상이었고, 재로그인 한 후에야 정상적으로 신청이 가능 하였습니다. 6. 하지만, 잔여가 여전히 69/70으로 나옴에도 불구하고, 마감되었다는 메세지만 뜨면서 강습신청이 불가능했습니다. 하여, 입회비 환불을 요청 드립니다. 더불어.. 위 문제들에 대해서 몇가지 제안을 드리고 싶습니다. (각 번호별로 해결방법을 제안 드립니다.) 저도 IT업계 종사자로써, 이런 공공기관의 홈페이지 관리가 어렵다는것을 어느정도 이해하고 있습니다만, 이건 비용을 어느정도 추가 지불하더라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 됩니다. 1. 강좌신청과 입회비는 전혀 관련이 없음에도, 둘의 결제시간이 연동되어 있는것은 개발자가 귀찮아서 하나로 묶었다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물론 코드 상태에 따라서 분기가 어려울순 있지만, 이건 개발업체에 강력히 항의해서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2. 이런 소규모 웹페이지에서 순간적인 서버 부하는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차라리 강습 신청 시간을 각 과목별 혹은 시간대별로 분산하여 강습 신청을 받는것을 추천 합니다. 한번에 모든 강좌를 오픈하는것 보단 훨신 부하가 덜하지 싶습니다. (웹서버 특성상, 임계점을 넘는순간 헬이 찾아 옵니다. 그 임계점을 넘지 않는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시스템이 모든 강좌를 한번에 열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잔여를 조절하는 방법등으로 컨트롤 할 수 있을듯 합니다. (물론 작업 담당자분이 좀 번거로우시긴 하겠지만요;;) 3. 강습 상세 페이지(https://www.esongpa.or.kr/fmcs/169?action=read&ctgcd=1110000000&comcd=SONGPA01&classcd=04938&type=R) 에는 11시정도까지 잔여가 69/70으로 남아 있는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아무래도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동시에 받다보니 잔여를 관리하기 힘들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긴 한데... 그래도 목록페이지(https://www.esongpa.or.kr/fmcs/169?ctgcd=1110000000 )에서는 접수종료가 나왔던것을 보면 꼭 그런것 같지도 않고.. 여튼 목록 페이지와 상세페이지가 연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건 버그로써 개발사쪽에서 수정을 해줘야 하는 문제 입니다. 강력히 항의하셔서 수정해 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4. 입회비 오류 메시지가 페이지가 뜰때 신청 버튼에 이미 박혀 있었습니다. 이런건 서버쪽에 요청시에 확인하는것이 옳은 방법 입니다. 이 역시 버그로써 업체에 강력히 항의하여 수정이 필요한 내용 입니다. 5. 위의 4번과 동일한 이슈입니다. 이런 결제 관련은 제발 서버에서 확인을... 6. 3번에서 말씀드린 이슈 입니다. 문화회관측에서 온/오프라인 동시 접수를 위해서 일부러 실시간 반영을 원하지 않았을수도 있을것 같긴 한데.. 그래도 목록과 동기화는 꼭 필요한 상황인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이후에 클릭하면 서버에서 실제 접수가 가능한지 확인하고 실패를 내려주는것 같은데.. 이 부분을 상세페이지에서부터 막으면 서버 부하도 더 줄어들것으로 예상 됩니다. 관련업계에 있다보니, 문제들이 워낙 눈에 보여서 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다음달에 다시 수영강좌를 신청할 수 있을지 없을지 몰라, 일단 입회비는 환불요청 드립니다. 더불어 한가지 더 제안 드리자면, 강습신청후 강습결제와 함께 입회비를 결제할 수 있게 하면 이러한 번거러운 일이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왠지 저와 동일한 이유로 환불요청이 많을것 같아서요) 홈페이지 개발계약과, 기간에 따라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용이 추가적으로 들지 안들지는 모르겠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봤을때 꼭 개선해 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담당자 답변